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수입차

기아차 상반기 영업이익 7868억원…전년비 44%↓


[오토모닝 정영창 기자] 기아자동차가 사드 역풍으로 인한 중국 시장 판매 급락 영향으로 영업이이익과 당기순이익 등이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기아차는 27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열고 상반기 매출액 26조4223억원, 영업이익 7868억원, 경상이익 1조2851억원, 당기순이익 1조155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2.5%, 영업이익은 44.0% 감소했다. 경상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39.0%와 34.8% 줄었다. 상반기 글로벌 판매는 135만6157대로 전년 동기대비 7.6% 감소했다. 지난 3월부터 가시화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의 영향으로 인한 중국 시장 판매 부진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국에서만 글로벌 전체 판매 감소분 11만2000여대를 훌쩍 뛰어넘는 11만8000여대가 감소한 가운데 실제 중국 실적을 제외할 경우 기아차의 전체 판매는 오히려 0.5% 증가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국내 시장 판매는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에 따른 수요 둔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했다. 

미국 시장에서는 니로의 신차 효과에도 불구하고 볼륨 모델 노후화에 따른 판매 감소와 시장수요 둔화에 따른 경쟁 심화의 영향으로 전체 판매가 9.9% 감소했으며, 중국에서도 사드 사태와 구매세 지원 축소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41.5% 감소했다. 

반면 유럽에서는 승용 차급의 판매 확대와 니로의 인기에 힘입어 전체 산업수요 증가폭인 4.6%를 크게 웃도는 9.5%의 판매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그외 중남미(18.6%↑), 러시아(23.1%↑), 중동/아프리카(1.2%↑) 등 주요 신흥시장에서의 판매도 증가했다. 

상반기 기아차의 글로벌 공장출고 판매는 전년 대비 9.5% 감소한 131만8596대를 기록했다. 국내 공장에서는 내수 수요 둔화에 따른 판매 감소와 멕시코 공장으로의 생산 이관에 따른 미국 수출 물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한 76만2036대를 판매했다. 

해외 공장에서는 멕시코 공장 생산 확대 및 유럽 시장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중국 판매 둔화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6.7% 감소한 55만6560대를 판매했다. 매출액은 RV 등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확대에 따른 판매단가 상승 효과에도 불구하고 판매 감소, 원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5% 감소한 26조422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원가율은 원화 강세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0%포인트 증가한 81.7%를 기록했으며, 판매관리비는 인센티브 증가 등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방어를 위한 전사적인 비용절감 노력에 힘입어 1.4% 감소했으나 판매관리비 비율은 매출액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증가한 15.3%를 기록했다. 

그 결과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44.0% 감소한 7868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2.2%포인트 감소한 3.0%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경상이익은 중국 지분법 이익 감소로 큰 폭의 하락 요인이 있었으나 금융 비용 감소 등의 요인이 이를 상쇄하며 전년 대비 39.0% 감소한 1조2851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34.8% 감소한 1조1550억원을 실현했다. 

한편 지난 2분기(4~6월) 기아차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판매 감소, 인센티브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0%, 47.6% 감소한 13조5784억원, 4040억원을 기록했다. 경상이익은 51.1% 감소한 5178억원, 당기순이익은 52.8% 감소한 3896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기아차의 글로벌 공장출고 판매는 국내공장이 내수와 수출의 동반 하락으로 4.8% 감소한 가운데, 해외공장도 중국 판매 부진의 영향으로 20.8% 감소해 전체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2.2% 감소한 66만264대를 기록했다. 

기아차는 하반기에도 중국 사드 사태 영향 지속 등 어려운 경영여건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신흥 시장 공략 강화 △신차 효과 극대화 △RV 차종 비중 확대 등을 통해 수익성 방어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먼저 기아차는 중남미, 러시아 등 주요 신흥국 경기가 최근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는 만큼 현지 전략 차종을 앞세워 이들 국가에 대한 공략을 보다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실제 기아차는 상반기 주요 신흥 시장에서의 판매량이 증가세를 기록했다. 

기아차는 멕시코 공장의 본격 가동으로 올해 상반기 멕시코 시장 판매가 전년 대비 74.7% 증가하는 등 중남미 시장에서 전년 대비 18.6% 증가한 10만9313대를 판매했다. 

또한 러시아에서는 과거 시장 침체기 속에서도 꾸준히 지배력을 유지해온 결과 최근 수요 회복의 효과를 빠르게 선점하며 전년 동기 대비 23.1% 증가한 8만233대를 판매했으며, 시장점유율 또한 9.7%에서 11.2%로 증가했다. 

이와 함께 기아차는 하반기 신차 투입을 통한 판매량 증대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최근 국내에서 잇달아 선보인 스팅어와 스토닉의 신차 효과를 이어가는 한편, 하반기에는 이들 차종을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 순차적으로 투입해 판매량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기아차는 스토닉 출시를 계기로 스토닉에서 모하비에 이르는 SUV 풀 라인업을 완성한 데 이어, 최근 더 뉴 쏘렌토와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출시하며 글로벌 SUV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향상시켰다. 

이에 더해 중국에서는 현지 전략형 소형 SUV K2 크로스를 출시해 중국 SUV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미국에서도 스포티지와 쏘렌토의 판매 물량 확대를 추진하는 등 RV 차종의 판매 비중 확대로 수익성을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이밖에도 기아차는 △딜러 관리체계 개선 △품질 및 고객서비스 강화 △전사적인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 △커넥티드카, 친환경차 등 미래차 경쟁력 확보 등 내실경영을 더욱 강화해 현재의 어려운 상황을 적극 돌파해나갈 계획이다. 

기아차 관계자는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영여건이 지속되고 있지만 최근 미국 제이디파워社의 ‘2017 신차품질조사(IQS)’에서 기아차가 일반브랜드로서는 최초로 2년 연속 전체 1위를 차지하는 등 내부 경쟁력은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며, “향후에도 경쟁력 있는 신차와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확대를 통해 수익성 방어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현재의 위기를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계기로 삼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영창 기자 jyc@automorning.com 



기획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