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0.6℃
  • 맑음강릉 33.6℃
  • 맑음서울 31.9℃
  • 맑음대전 31.5℃
  • 맑음대구 30.6℃
  • 맑음울산 30.3℃
  • 맑음광주 30.8℃
  • 구름많음부산 30.5℃
  • 맑음고창 32.0℃
  • 구름조금제주 29.7℃
  • 맑음강화 29.7℃
  • 맑음보은 29.4℃
  • 맑음금산 29.3℃
  • 맑음강진군 31.8℃
  • 맑음경주시 30.5℃
  • 구름조금거제 29.5℃
기상청 제공

수입차

영국 자동차의 상징,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BRG)에 담긴 의미는?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의 시작, 1903년 고든 베넷 컵에서 영국이 선택한 컬러


[오토모닝 정영창 기자] 자동차 애호가라면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British Racing Green)’이라는 색상에 한 번쯤 눈길을 준 적이 있을 것이다. 이 깊은 녹색은 단순한 컬러를 넘어, 한 시대의 스피드와 혁신, 그리고 영국 모터스포츠의 자긍심을 상징한다. 

로터스, 애스턴 마틴, 재규어, 벤틀리, 미니, 모건, 맥라렌 등 무수히 많은 영국차들이 그들만의 ‘그린’에 충성을 바치며 질주해 왔다.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은 ‘그린 그 이상’이다. 이 ‘그린’은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영국인들의 미적 감각, 그리고 성능과 전통을 중시하는 영국의 모터스포츠 정신을 품고 있다.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의 시작= 이 전설적인 컬러의 기원은 1900년대 초반 유럽 대륙에서 열린 자동차 경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3년 영국은 당시 자치령이었던 아일랜드에서 고든 베넷 컵(Gordon Bennett Cup)을 개최했다. 이때 영국은 자국 내 공공 도로에서 자동차 경주를 금지하고 있었다. 

고든 베넷 컵에 출전한 각국의 경주차들은 각국의 고유 컬러로 칠해야 했다. 이를테면 프랑스는 파랑, 이탈리아는 빨강, 독일은 흰색, 벨기에는 노랑 등이었다. 영국은 아일랜드에 헌정하는 의미로 그린을 선택했다. 아일랜드는 연중 비가 자주 내리고 온화한 기후 덕에 푸르고 비옥한 초원이 넓게 펼쳐져 있다. 그래서 예전부터 ‘에메랄드 섬(Emerald Isle)’이라고도 불렸다. 

당시에는 경주의 리버리가 된 그린을 ‘샴록 그린(Shamrock Green)’이라고 불렀다. 이 ‘그린’은 훗날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으로 불리게 됐다. 이후 영국 경주차의 상징이 되어 F1, 르망 등 수많은 무대에서 전설로 남았다. 


로터스와 함께 써 내려간 신화적 컬러= 로터스는 19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포뮬러 원(F1)을 비롯한 모터스포츠에 참여하며 경량화 철학과 혁신적인 엔지니어링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 중에서도 1962년 로터스 25는 모노코크 섀시라는 새로운 구조를 최초로 도입해 차의 경량화와 안정성을 동시에 이뤄냈다. 짙은 녹색 차체 위로 흰색 스트라이프가 그려진 로터스 25는, 짐 클라크(Jim Clark)의 손끝에서 전설이 되었다. 클라크는 로터스와 함께 1963, 1965년 월드 챔피언에 오르며,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의 신화를 완성했다. 

한편, 지난 2010년 로터스 레이싱팀은 15년 만에 포뮬러 원에 복귀하기도 했는데, 이때 역시 머신(T127)에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에 노랑 스트라이프를 입혀 ‘로터스의 귀환’을 강렬하게 드러냈다. 

이는 최근 에미라로 이어지기도 했다. 로터스는 최근 ‘클라크 에디션(Clark Edition)’이라는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 V6 에미라 한정판을 발표했다.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 도장 위에 헤리티지가 가득 담긴 옐로 스트라이프를 시원하게 넣었다. 우드 기어 노브와 클라크의 서명이 특별함을 더한다. 도로 위를 달리는 이 역사의 한 조각은 전 세계 단 60대만 생산된다. 

지금도 로터스 팬들은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이 입혀진 모델을 운전하는 것을 진짜 로터스를 경험하는 클랙식한 방식으로 여긴다. 로터스는 이 컬러를 통해 모터스포츠로 이룩한 위대한 유산과 영국 레이싱의 전통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시대의 부응으로 만들어진 엘레트라 역시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 계열의 컬러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해 ‘질주하는 영국’의 헤리티지 감성을 경험할 수 있다. 


아름다운 그린, 재규어= 재규어는 1950~1960년대 르망과 각종 내구 레이스에서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을 두른 차들로 명예를 거머쥐었다. 르망 24시에서 우승한 재규어 C-Type과 ‘가장 아름다운 자동차’로 불리는 E-Type 모두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의 옷을 입었다. 

재규어는 언제나 빠르면서도 아름다움을 추구했다.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은 이 두 요소를 절묘하게 조화시켜준다. 속도감을 강조하면서 고급스럽고 절제된 느낌을 줘 브랜드의 철학과 완벽히 조화를 이룬다. 지금도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은 재규어 라인업의 대표적인 선택지 중 하나다. 

영국 럭셔리와 모터스포츠의 조화, 벤틀리= 벤틀리는 1920년대 ‘벤틀리 보이스(Bentley Boys)’가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을 두른 경주차로 르망 24시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거두며 브랜드의 레이싱 유산을 쌓았다. 컨티넨탈 GT, 벤테이가 등 현대 모델에서도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 옵션을 제공하며, 한정판 ‘블로워 컨티뉴에이션 시리즈(Blower Continuation Series)’ 등에서 전통의 색을 재현하고 있다. 

특히, 뮬리너(Mulliner) 옵션의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 4’는 대표적인 벤틀리 공식 컬러 옵션 중 하나다. 딥하고 고급스러운 무광 솔리드 그린 계열이다. 이 옷을 입은 뮬러는 외관에서 강렬한 존재감을 주고, 실내는 전통적으로 우아한 브리티시스타일을 유지한다. 뮬리너는 전통적으로 벤틀리의 최고급 주문 제작 부문을 담당한다.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 계열의 컬러는 물론 다양한 소재와 피니시를 무제한 제공한다.
 
대조의 미학, MINI= MINI야말로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의 계보를 가장 대중적으로 확산 중인 브랜드다. 전기차를 포함해 거의 모든 모델에서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 계열의 컬러를 선택할 수 있다. MINI는 시대 흐름에 따라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에 약간씩 변형을 주며 재해석 중이다. 메탈릭 또는 무광 피니시 옵션을 함께 제공해 감각적인 톤을 유지한다. 작은 차체에 진중하고 클래식한 컬러가 반전 매력이다.
 
쿠퍼 S나 고성능 모델인 JCW는 스케일을 뛰어넘는 퍼포먼스까지 선사한다. 실내를 들여다보면 앰비언트 라이트와 OLED 패널 등 미래 지향적인 기술들이 펼쳐진다. 이러한 콘트라스트가 MINI에서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을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 

우리만의 그린, 애스턴 마틴 레이싱 그린= 1959년, 애스턴 마틴은 DBR1으로 르망 24시에서 종합 우승을 거두며 영국 모터스포츠의 자존심을 세웠다. 이때 DBR1은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으로 치장돼 있었다. 지금의 ‘애스턴 마틴 레이싱 그린’이 시작이었다. 애스턴 마틴에서 쓰는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은 흔히 ‘애스턴 마틴 레이싱 그린’이라고 따로 부른다. 

이 컬러는 브랜드 전용 조색이 적용된 매우 짙고 고급스러운 딥 그린이다. 일반적인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보다 톤이 더 묵직하다. 태양광 아래에서는 청록빛이 감도는 깊이감을 보여줘 타 브랜드와는 다른 절제된 미를 보여준다. 

애스턴 마틴은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의 전통을 F1에서 적극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포뮬러1의 공식 세이프티카로 선정된 밴티지 GT3 역시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을 휘둘러 영국 모터스포츠의 헤리티지를 대표적으로 드러냈다. 애스턴 마틴 아람코 F1 팀은 2021년 복귀 이후, 모든 머신을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으로 칠했다. 



정영창 기자 jyc@automorning.com  






기획

더보기